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to 부정사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면서 그에 못지않게 학생들이 많이 힘들어하는 부분이 용법을 구별하라는 문제이다. to 부정사의 용법은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총 3가지가 있는데 이번에 명사적 용법을 다루겠다.

 

1.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1) 위치로 구별하는 법

 

to부정사가 명사적으로 쓰였는지 구별해내기 위해서는 먼저 명사의 쓰임을 알아야 한다. 명사는 문장에 주어(S), 목적어(O), 보어(C)로 쓰인다.

 

  • 주어의 위치는 쉽게 말해서 맨 앞, 좀 더 정확히 말해서 동사 앞(왼쪽)이다.

   주어        +       동사

주어는 동사 앞에 있다 


   

  • 목적어의 위치는 쉽게 말해서 일반동사 뒤(오른쪽)이다. 타동사 뒤가 정확한 위치이지만 타동사인지 구별하는 게 쉽지 않기에 일반동사 뒤에 위치하면서 '~을,~를'로 해석이 되면 목적어 자리이다.

일반동사      +      목적어    

                    '-을,-를'로 해석


  • 보어 자리는 be동사 뒤이다.

be동사       +      보어     


to 부정사가 주어, 목적어, 보어자리에 있다면 명사적용법이라고 볼 수 있다.


2) 해석으로 구별하는 법

to 부정사가 명사적용법으로 쓰일 때는 '~것, ~기' 로 해석이 된다.

 

종합하면 to부정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이면서 '~것, ~기'로 해석이 되면 명사적 용법이다.

 

 

그럼 예문으로 한번 살펴보자


To learn French is hard.

프랑스어를 배우는 것은 어렵다.

 

To learn은 동사(is) 앞 주어 자리에 있으면서 '배우는 것'이라고 해석이 되므로 명사적 용법이다.


I want to drink some water.

나는 물을 좀 마시기를 원한다.

 

to drink는 일반동사(want) 뒤 목적어 자리에 있으면서 '마시기를'이라고 해석이 되므로 명사적 용법이다.

 


My plan is to visit Grandma next month.

나의 계획은 다음 달에 할머니 집을 방문하는 것이다.

 

to visit은 be동사 뒤 보어 자리에 있으면서 '방문하는 것'으로 해석이 되므로 명사적 용법이다.

 


2. 주의해야 할 명사적 용법

 

1) 가주어/ 진주어 구문

  to 부정사가 가주어/ 진주어 구문에 쓰이면 주어지만 그 위치가 동사 앞에 위치하지 않고 문장 뒤로 가버리니 주의해야 한다. 해석은 똑같이 '~것, ~기'로 된다. 가주어/ 진주어 구문의 구조 [It is 형 to~]를 암기하고 이때 to 부정사는 명사적 용법이라고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It    is     형         to~   

가주어 (해석X)         진주어 (~것, ~기)

 

It is easy to solve the problem.

그 문제를 푸는 것은 쉽다.

 

to solve는 진주어 자리에 있고 '푸는 것은' 이라고 해석이 되므로 명사적 용법이다.


2) 의문사 + to 부정사

   의문사 + to 부정사는 명사구로써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에 갈 수 있기에 명사적 용법이다. 이해가 잘 안 가면 [의문사+ to 부정사]는 명사적 용법이라고 그냥 암기해도 좋다. 

 

what to do: 무엇을 해야 할지

when to do: 언제 해야 할지

where to do : 어디서 해야 할지

how to do: 어떻게 해야 할지, ~하는 방법


I don't know what to do

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다.

 

what to do는 의문사 + to 부정사 이므로 명사적 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