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

수일치 1. 수일치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이에 맞춰 동사도 단수 동사 혹은 복수 동사를 써서 단복수를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주어가 단수이면 단수 동사, 복수이면 복수 동사를 쓴다. 구와 절이 주어이면 단수 취급한다. 주어를 수식하는 수식어는 동사와 수일치하지 않는다. 2. 주의해야 할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 1) 상관접속사로 연결된 주어와 동사에서는 B와 수 일치시킨다. Not only A but (also) B =B as well as A 동사는 B와 수일치 Not A but B Either A or B Neither A nor B Not only their mother but also the boys want to live in the country. 그들의 어머니뿐만 아니라 그 소년.. 더보기
비교 (라틴비교급, 최상급) 1. 라틴비교급 라틴어에서 유래한 형용사와 prefer는 비교 대상 앞에 than을 쓰지 않고 to를 쓴다. 1) prefer (~을 더 좋아하다/ 선호하다) prefer A to B: A를 B보다 더 좋아하다. I prefer playing soccer to playing basketball. 나는 농구하는 것보다 축구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2) superior (더 우수한), inferior (더 열등한), senior (더 나이 많은), junior (더 어린) 등 A is superior to B : A는 B보다 더 우수하다 A is inferior to B: A는 B보다 더 열등하다 This mobile phone is superior to that one. 이 휴대폰은 저것보다 더 우수하다... 더보기
비교 (원급, 비교급, 최상급) 1. 비교급, 최상급 만드는 법 1) 1,2음절 단어 (1)기본 원급에 -er, -est 붙여서 만든다 strong - stronger - strongest (2)-e로 끝나는 단어 원급에 -r, -st 만 붙인다. large - larger - largest (3)[자음+y]로 끝나는 단어 y를 i로 고치고 -er, -est를 붙인다. happy - happier - happiest (4)[단모음+단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자음 하나 더 쓰고 -er, -est를 붙인다. hot - hotter - hottest 2) 2음절 단어 (1)-y, -er, -ow, -le 등으로 끝나는 2음절 단어 1음절과 동일하게 비교급, 최상급을 만든다 clever - cleverer - cleverest (2) 나머지 2.. 더보기
가정법 1. 가정법 사실을 그대로 표현하는 직설법과는 달리 가정법은 사실을 바탕으로 하되 그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으로 가정하거나 상상하여 말한다. 1) 가정법의 종류 (1)가정법과거 동사는 과거 시제를 쓰지만 현재 사실의 반대로 말하는 것이다. 즉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것을 가정 상상하여 말한다. 단. be동사의 경우 was를 쓰지 않고 항상 were만 쓴다. 형태: If S 과거동사, S would[could/ might] + 동원 " 만약 ~라면 ... 할 텐데 " If I were you, I would take the course. 만약 내가 너라면, 나는 그 수업을 받을 텐데. (2) 가정법 과거완료 동사는 과거완료 시제를 쓰지만 과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해 반대로 말하는 것이다. 즉 과거의 사실과 반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