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

가정법

1. 가정법

  사실을 그대로 표현하는 직설법과는 달리 가정법은 사실을 바탕으로 하되 그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으로 가정하거나 상상하여 말한다.

 

 1) 가정법의 종류

  (1)가정법과거

    동사는 과거 시제를 쓰지만 현재 사실의 반대로 말하는 것이다. 즉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것을 가정 상상하여 말한다. 단. be동사의 경우 was를 쓰지 않고 항상 were만 쓴다.

 

   형태: If  S  과거동사,   S   would[could/ might] + 동원

          " 만약  ~라면 ... 할 텐데 "

 

           If I were you, I would take the course.

           만약 내가 너라면, 나는 그 수업을 받을 텐데.


 

  (2) 가정법 과거완료

    동사는 과거완료 시제를 쓰지만 과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해 반대로 말하는 것이다. 즉 과거의 사실과 반대로 가정 상상하여 말한다.

    형태: If   S    had pp,  S would [could/might] have pp 

        "만약 ~였다면, ...  했을 텐데"

 

          If I had left ten minutes earlier, I could have met him.

          만약 내가 10분 더 일찍 떠났더라면, 나는 그를 만날 수 있었을 텐데.

 


    (3) 가정법 미래

     미래에 실현 불가능한 것을 말할 때, 실현 가능성에 강한 의심을 표현할 때, 그리고 실현되지 않기를 강하게 바랄 때 사용한다.

 

    형태: ① If   S   should 동원 ,  S   would [should/ could/ might/ will/ shall/ can/ may] 동원

  

                What should I do if I should fail?

                내가 혹 실패한다면 난 뭐를 해야 할까?

 

            ② If  S   were to 동원 ,  S would [could/ might] 동원

         

               Even if the sun were to rise in the west, I would not accept the offer.

              해가 서쪽에서 뜨더라도, 나는 그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4) 혼합 가정법

     과거의 일이 현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가정법으로 표현할 때 사용한다. 보통 주절에 현재를 나타내는 부사가 함께 온다.

 

    형태: If   S   had pp( 가정법 과거완료),   S would [could/ might] 동원 (가정법 과거)

          "(과거에) 만약 ~ 였다면, (지금) ... 할 텐데."

 

           If he had worked harder, he would be happier now.

          만약 그가 더 열심히 일했더라면, 그는 지금 더 행복할 텐데.

 

 


 2) 가정법의 다양한 표현

  (1) I wish 가정법

    ① I wish 가정법 과거

       형태: I wish   S    과거형 동사 → 현재에 대한 아쉬움

              "~라면 좋을 텐테"

 

          I wish I had eought money to buy a car.

          차를 살만큼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면 좋을 텐데.

 

    ② I wish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에 대한 아쉬움

       형태: I wish    S   had pp

        "~였다면 좋았을 텐데 "

 

        I wish I had written down her phone number.

        그녀의 전화번호를 적었었다면 좋았을 텐데.

 


   (2) as if (though) 가정법

     as if와 as though가 이끄는 절은 뒤에 가정법을 쓰는데 과거형이 오면 주절과 같은 시제를 과거완료가 오면 주절보다 한 시제 더 과거를 나타낸다. "마치 ~인 것처럼"으로 해석한다.

 

    ① as if + 가정법 과거

      You talk as if you knew the secret.

      너는 마치 그 비밀을 알고 있는 것처럼 말한다.

 

    ② as if + 가정법 과거완료

      You look as if you had seen a ghost.

      너는 마치 귀신을 봤던 것처럼 보인다.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교 (라틴비교급, 최상급)  (0) 2021.02.28
비교 (원급, 비교급, 최상급)  (0) 2021.02.27
수동태  (0) 2021.02.24
분사구문  (0) 2021.02.22
분사 (현재분사, 과거분사)  (0) 2021.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