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사의 종류
1) 현재분사: [be동사 + 현재분사] 형태의 진행형에 사용된다.
What are you looking at?
너는 무엇을 보고 있니?
2) 과거분사: 완료형과 수동태에 사용된다
완료형: have(had) + 과거분사
I've finished writing a letter.
나는 편지 쓰는 것을 끝냈다.
수동태: be동사 + 과거분사
A window was broken by someone.
창문은 누군가에 의해서 깨졌다.
2. 분사의 용법
분사는 동사의 성질을 갖고 있으면서 형용사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분사도 형용사처럼 명사를 수식하거나 주어·목적어의 상태를 서술할 수 있다.
1) 한정용법: '~하는, ~한'으로 해석하여 명사와 분사가 능동의 관계일 때는 현재분사, 수동의 관계일 때는 과거분사를 쓴다.
(1) 명사 앞에서 수식: 분사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명사 앞에서 그 명사를 수식한다.
a sleeping baby: 자고 있는 아기
sleeping은 단독으로 쓰였기에 baby라는 명사 앞에서 수식한다. 현재분사이기에 baby와는 능동 관계이다. 즉 아기가 능동적으로 자고 있다는 의미이다.
a stolen car: 도난당한 차
stolen은 단독으로 쓰였기에 car라는 명사 앞에서 수식한다. 과거분사이기에 car와는 수동관계이다. 즉 차는 도난을 당한 수동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1) 명사 뒤에서 수식 : 분사가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목적어나 보어, 수식어구가 뒤따르면, 분사는 명사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며, 명사와 분사 사이에는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erson writing reports is my friend.
보고서를 쓰고 있는 사람은 나의 친구이다.
writing은 reports라는 목적어와 함께 명사를 수식하기에 the person 뒤에서 수식한다. 현재분사이기에 수식받는 명사와는 능동적인 관계이다. 즉 the person은 능동적으로 글을 쓰고 있다.
I will introduce a girl called Sarah to him.
나는 Sarah라고 불리는 소녀를 그에게 소개할 것이다.
called는 Sarah라는 보어와 함께 명사를 수식하기에 a girl 뒤에서 수식하고 있다. 과거분사이기에 수식받는 명사와는 수동적인 관계이다. 즉 a girl은 Sarah를 부르는게 아니라 Sarah라고 수동적으로 불리는 것이다.
2) 서술 용법
(1) 주격보어: '~한 채로, ~하면서'로 해석한다. 주어를 능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서술한다.
Peter came running towards us.
Peter는 우리에게 달리면서 왔다.
(2) 목적보어: 5형식에서 목적어를 능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서술한다.
They always keep the door locked.
과거분사 locked는 목적어인 the door가 수동적으로 잠겨있음을 서술하고 있다.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동태 (0) | 2021.02.24 |
---|---|
분사구문 (0) | 2021.02.22 |
완료시제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0) | 2021.02.18 |
시제 (현재시제, 과거시제, 미래시제) (0) | 2021.02.18 |
조동사 do, be, have (0) | 2021.02.13 |